윈도우11로 바뀌면서 기존에 사용하던 인터페이스 등이 달라져서 불편한 것들이 몇 가지 있는데 그 중에 하나가 오른쪽 클릭하면 나오는 메뉴가 달라진 점입니다. 간소화되니 깔끔하게 보기는 좋아서 그냥 사용해보려고 했는데 필요한 메뉴를 사용하려면 [더 많은 옵션 표시]를 한번 더 클릭하는 부분이 불편해서 변경하는 방법은 알아봤습니다.
윈도우11 더 많은 옵션 제거하기

바탕화면이나 기타 아이콘 등에서 오른쪽 클릭을 하면 위와 같이 나오는 [더 많은 옵션 표시] 메뉴는 깔끔해서 보기는 좋은데 사용하는데는 좀 불편하더라고요. 위에 이미지에도 있지만 Shift+F10단축키로 이용해 보려고도 했는데 적응이 안되더라고요. 그래서 이 부분을 예전버전인 윈도우10과 같이 변경하는 방법을 찾았습니다. 레지스트리를 변경해야 하지만 많이 어렵진 않습니다. 한번만 잘 천천히 따라서 바꿔놓으면 되니까요.
작업표시줄에서 [검색 > 레지스트리(regedit)]를 검색해서 [레지스트리 편집기]를 실행해줍니다.
레지스트리 주소가 들어가는 부분에 아래 적혀있는 내용을 복사+붙여넣기 해서 이동합니다. 잘 안되면 천천히 순서대로 폴더를 클릭해서 이동해도 됩니다.
컴퓨터\HKEY_CURRENT_USER\Software\Classes\CLSID

그리고 [CLSID] 키(폴더) 위에서 [오른쪽 클릭 > 새로만들기 > 키]를 순서대로 클릭합니다. 그리고 아래 적혀있는 내용은 복사+붙여넣기 합니다.
{86ca1aa0-34aa-4e8b-a509-50c905bae2a2}

그러면 {86ca1aa0-34aa-4e8b-a509-50c905bae2a2} 키(폴더)가 추가됩니다. 이렇게 만들어진 {86ca1aa0-34aa-4e8b-a509-50c905bae2a2} 키(폴더)위에서 다시 [오른쪽 클릭 > 새로만들기 > 키]를 이용해서 키를 만들고 아래 있는 내용을 복사+붙여넣기 해줍니다.
InprocServer32

그렇게 만들어진 InprocServer32 키(폴더)에서 오른쪽 화면을 보시면 (기본값)이라고 되어 있는 부분을 더블클릭합니다. 그러면 위와 같이 문자열 편집창이 열리고 값데이터를 입력하는 부분이 있는데요. 이 부분에 ‘공백’상태 즉 아무것도 없는 상태로 [확인]버튼을 클릭합니다.

그리고 바탕화면으로 가셔서 오른쪽 클릭해보시면 위와 같이 예전에 사용하던 예전버전인 윈도우10에서 사용하던 오른쪽 클릭 메뉴를 보실 수 있습니다.

혹시 바뀐게 없다면 [작업관리자에서 > 프로세스 > 윈도우탐색기 ]를 선택하고 오른쪽 하단에 [다시 시작] 버튼을 클릭해줍니다.
윈도우11 더 많은 옵션 설정하기

더 많은 옵션 제거해서 사용하다가 원상복구를 하고 싶으시다면 레지스트리 편집기에서 위에서 추가했던 {86ca1aa0-34aa-4e8b-a509-50c905bae2a2} 키(폴더)를 오른쪽 클릭해서 삭제하시면 윈도우11 원래 상태로 돌아갑니다.
이상으로 윈도우11 더 많은 옵션 제거하기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. 레지스트리를 건드는 부분이라 약간 찜찜할수도 복잡해 보이기도 하지만 천천히 따라해보시면 복사+붙여넣기로 가능합니다. 바뀐부분에 적응해서 이용해야 하는데 자꾸 예전에 사용했던 걸로 변경해서 사용하게 된네요.
추천 게시물
일부 글에 제휴 링크가 포함될 수 있으며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,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. |